본문 바로가기
음식 관련 지식

스마트팜이란? 스마트팜 지원정책 (2024청년 지원 사업)

by 모디스프링 2024. 3. 11.
반응형

 

1. 스마트팜이란?

별다른 노하우 없이 스마트 팜은 최신식 정보 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습니다. 토양의 질, 온도, 습도, 햇볕의 양, 이산화탄소 등을 스스로 측정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농작물이 자라나기 좋은 상태로 변화시켜줍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도 멀리서도 손 쉽게 제어가 가능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상도역에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메트로팜이 있습니다. 지하철 내 스마트팜을 도입하여 농장이 생겼는데, 답십리역을 시작하여 상도역, 천왕역, 충정로역, 을지로 3가역 이렇게 5개를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팜카페가 있고 채소를 무게에 따라서 구매할 수 있고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하면서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팜 지원정책
스마트팜 지원정책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세대 분류

1세대: 원격 모니터링과 제어로 편의성 향상

2세대: 지능형 정밀생육 관리로 생산성 향상

3세대: 에너지 최적화 및 로봇 자동화 등 스마트팜 통합시스템 수출

2. 스마트팜 활용 사례

 

메트로팜

 지하철 내 스마트팜을 도입하여 농장이 생겼는데, 답십리역을 시작하여 상도역, 천왕역, 충정로역, 을지로 3가역 이렇게 5개를 만나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상도역에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메트로팜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팜카페가 있고 채소를 무게에 따라서 구매할 수 있고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하면서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트랙터·로봇

GPS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경로를 지정하여 자율 주행으로 밭을 갈 수 있습니다. 카메라로 앞을 촬영하면서 움직임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실내에 있는 농장에선 로봇이 경로를 따라 다니면서 방제 작업을 하고 열매를 따면 운반해주기도 하면서 수확 날짜까지 예측한다고 합니다. 

무빙 컨테이너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 무빙 컨테이너를 달아서 식물들이 차례로 햇빛을 받게 합니다. 좁은 곳에서 농사를 지을 경우 유용한 장치입니다. 

 

3. 임대형 스마트팜 청년 지원 사업 신청하는법

스마트팜 지원정책
스마트팜 지원정책

1) 사업내용 : 공사 소유 농지에 스마트팜을 설치하여 청년농부에게 최장 20년간 임대

2) 지원대상: 18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으로 스마트팜 혁신밸리 청년 창업 보육센터 교육과정 수료자 및 수료예정자 포함 또는 경영실습 임대농장 운영경력이 2년 이상인 자거나, 농업계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생 

3) 모집인원: 총 13명 모집(안성시 :3명/ 횡성군: 2명/ 상주시: 3명/ 경주시: 2명/ 서귀포시 2명/ 광양시: 1명) 

* 거주지 : 임대차 계약 체결일 기준 지원자의 주민등록 및 실제 거주지가 농지가 소재하는 시군구 또는 연접한 시군구거나 해당 농지로부터 직선거리 30km 이내인자

4) 신청 기간: 2024. 3. 4(월) ~ 2024. 3. 25(월)

5) 지원내용 : 1인당 농지 약 0.5ha, 스마트팜 시설 약 0.13ha / 임대료 : 표준임차료의 50%, 시설임차료: 농작물 수입의 1/10

6) 신청서류 :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 임차 신청서 및 영농계획서, 부속서류 등

7) 신청방법: 신청서 및 첨부 서류를 구비하여 기한 내 농지소재지 관할 농어촌공사 지사에 방문 제출 또는 우편 접수

 

반응형